[PM] 프로젝트 헌장project charter을 만들어보자 (1)

2022. 2. 5. 18:42

Coursera Google PM 전문 자격증의 Capstone강좌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1. 프로젝트 헌장 Project Charter 이란: 프로젝트 승인을 위한 관문

어떤 회사의 의뢰가 들어왔다. 회사는 자신들의 상황과 인지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우리 팀에 전달할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요구사항에 대해 말할 것이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회사의 가치를 보존하고 제대로 시장에 전달하면서 문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그것을 제약조건 내에서 실현시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작성해야 하는 것이 프로젝트 헌장이다. 프로젝트 헌장은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서다.

프로젝트 담당 팀에게는 전반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돕는 도구이며,

프로젝트를 승인하는 이해관계자에게 프로젝트의 내용을 이해시키고 납득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이다.

프로젝트 헌장이 논문의 초록과 비슷한 느낌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읽는 사람이 납득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글이니까.

그러면 프로젝트를 승인받기 위한 문서 안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어야 할까?
아래 링크들을 참조하면 좀 더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wrike.com/project-management-guide/faq/what-is-a-project-charter-in-project-management/

 

What Is a Project Charter in Project Management?

A project charter is a key element in planning a project as it is referred to throughout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Use project charters to set expectations and communicate goals with our online project management guide.

www.wrike.com

https://asana.com/ko/resources/project-charter

 

예시와 함께 알아보는 프로젝트 헌장 작성 방법 • Asana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승인받을 수 있도록 프로젝트 헌장을 작성하세요.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에게 주요 목표와 범위를 명확하게 전달하세요. 그 방법을 소개합니다.

asana.com

 

2. 프로젝트 헌장의 구성요소: 요약, 목표, 결과물, 범위

프로젝트 헌장 안에는 요약summary, 목표goals, 결과물deliverables, 범위scope가 포함돼야 한다.

회사 규범이나 분위기에 따라 예산, 비용 등 다른 요소들도 추가될 수 있다.

맨 처음 요약 부분에는 이 문서의 전반적인 내용을 두 세 줄의 짧은 길이로 요약한다.

두괄식의 느낌으로 서두에 중요한 포인트를 요약해두면 다른 사람이 편하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아래에는 프로젝트의 목표에 대해 적는다.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기업이 얻는 결과를 설명하는 것이다.

기업이 원하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존재 이유이니 여기에는 주요 이해관계자(클라이언트)가 요구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한다.

프로젝트 목표를 적었다면 그 아래에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적는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창출해야 하는 것들에 대해 적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객 만족도 향상을 통한 매출 증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 팀이 로봇형 웨이터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고 해보자. 그러면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고객 만족도 제고를 통한 매출 증대'이고,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성공적으로 로봇형 웨이터를 도입함'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프로젝트의 범위에 대해서 정의한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다 보면 팀은 더 많은 정보를 알게 되고 그에 따라 프로젝트의 범위를 확대하고 싶은 욕구를 느낄 수 있다.

게다가 중간에 다른 상사(이해관계자)가 냅다 다른 일까지 끼워서 시킬 수 있다(!)

이런 일이 발생했을 때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의 초기 단계에 업무 범위에 대해서 분명하게 명시해야 한다.

아무리 새로운 작업A가 매력적으로 보여도 임의로 프로젝트를 확대할 수는 없다.

(범위는 프로덕트 오너 등의 의사결정권자에 의해 변경될 수는 있다고 한다.)

따라서 프로젝트 헌장에 적힌 절차에 따라 이슈를 해결해야 한다.

설득력 있는 프로젝트 헌장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으려고 해야한다.

내 머리(뇌피셜)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다!

회사 이해관계자(미용실이라면 미용사, 마트라면 캐셔, 수산물 코너 담당자 등)와 회의를 하면서 그들의 생각과 입장에 대해 알아야 한다.

OKR이 명시적으로 존재하는 회사라면 그것을 찾아보고,

회사 홈페이지에 들어가 이 회사의 비전, 중장기 목표, 추구하는 가치 등에 대해 조사해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프로젝트를 승인하는(예산을 내주는)이해관계자들의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BELATED ARTICLES

more